많은 사람들이 월급날만 기다리지만, 정말 중요한 건 ‘실질소득’입니다. 숫자에 속지 말고 실제로 내게 돌아오는 돈을 제대로 이해해야 합니다. 오늘은 여러분의 경제적 안녕을 결정짓는 실질소득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실질소득의 정확한 정의
실질소득이란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제 구매력을 반영한 소득을 말합니다. 겉보기 월급(명목소득)에서 세금, 공제금을 빼고 물가상승까지 고려해야 진짜 내 소득을 알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명목소득 500만원 ≠ 실질소득 500만원’이라는 거죠. 2023년 물가상승률이 3%라면 명목소득은 그대로여도 실질소득은 줄어드는 셈입니다.
실질소득 계산법
실질소득을 계산할 때는 공식: 실질소득 = (명목소득 – 고정지출) ÷ 물가지수를 사용합니다. 여기서 고정지출에는 건강보험, 국민연금, 소득세 등이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월급 400만원에 고정지출 80만원, 물가지수가 1.03(물가 3% 상승)이라면? (400-80)÷1.03=약 310만원이 실질소득입니다. 명목소득보다 훨씬 적죠?
실질소득이 중요한 이유
실질소득 감소는 생활수준 저하로 이어집니다. 2022년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실질소득 3년 연속 감소했는데, 이는 같은 월급으로 살 수 있는 것들이 줄어든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퇴직자나 고정수입자의 경우 실질소득 하락 영향이 더 큽니다. 투자나 부업 없이 명목소득만 믿고 있다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실질소득 높이는 현실적인 방법 3가지
첫째, 세금공제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세요. 퇴직연금, 청약저축 등으로 소득공제 받는 것이 가장 쉽습니다.
둘째, 고정지출을 철저히 관리하세요. 통신비, 보험료 재점검만으로도 월 10만원 이상 절약 가능합니다.
셋째, 물가상승률을 이기는 투자가 필요합니다. 예금만으로는 실질소득을 지킬 수 없으니, 인프렐레이션 펀드 등 물가연동 상품을 고려해보세요.
실질소득 vs 명목소득 구분 요령
명목소득이 올라도 실질소득이 줄어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봉급인상률이 물가상승률보다 낮을 때 대표적인데요, 2023년 평균 임금인상률 2.8%에 물가는 3.6% 오르며 실질소득이 0.8% 감소했습니다.
체크포인트: 매년 본인의 실질소득 변화를 계산해보세요. 명목소득 증가에 안도하지 말고 실제 구매력 변화를 파악하는 게 중요합니다.
실질소득을 눈여겨봐야 할 사람들
현재 50대 이상이거나 10년 내 퇴직 예정이라면 실질소든 관리가 특히 중요합니다. 고정수입으로 전환되면 물가상승이 직접적인 타격이 되기 때문이죠.
또한 자영업자들은 매출 증가가 물가상승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실질소득 감소 위험이 높습니다. 원가 계산 시 항상 물가요인을 반영해야 합니다.
앞으로의 실질소득 전망
한국은행은 2024년 물가상승률 2.6% 전망했습니다. 임금인상률이 이를 밑돌 경우 실질소득 감소는 계속될 전망입니다. 디플레이션 우려보다는 저성장 고물가 시대에 대비한 소득 전략이 필요합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 구조가 바뀌면서 실질소득 격차가 더욱 벌어질 수 있습니다. 전통산업 종사자들은 추가 소득원 마련이 시급합니다.
지금 바로 실천할 수 있는 일
오늘부터 명목소득이 아닌 실질소득 개념으로 가계부를 작성해보세요. 실질소득 계산엑셀 시트를 무료로 배포중이니 댓글로 요청해주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1년에 한 번은 보험료 재점검 날을 정하세요. 불필요한 보험을 해지하는 것만으로도 실질소득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가족 전체 기준 연 200만원 이상 절약한 사례도 많습니다.
실질소든, 이제는 진짜 내 돈을 생각할 때
여러분, 이제 ‘월급 xxx만원 받는다’는 말보다 ‘실질소득이 xx만원이다’라고 말해보세요. 진짜 나의 경제력을 정확히 아는 것이 첫걸음입니다.
물가는 계속 오르지만, 우리의 경제지식도 함께 성장시켜나가요. 작은 차이가 10년 후엔 천만원 이상의 격차를 만듭니다. 오늘 배운 실질소득 개념으로 더 현명한 금융 결정을 내리시길 바랍니다!